매직링(Magic Ring) 시작법
매직링(Magic Ring) 시작법
- 실 준비
먼저, 코바늘과 실을 준비해 주세요. 매직링은 시작 부분에 구멍이 없기 때문에, 실을 더 깔끔하게 감싸는 효과를 줍니다. - 매직링 만들기
실을 손가락에 한 번 감아, 매직링의 원 모양을 만듭니다. 실 끝부분을 손에 감고, 나머지 부분으로 원을 만들어주세요.- 실 끝을 왼쪽으로 두고, 오른손으로 실을 감습니다.
- 실을 감고 나면, 고리처럼 원을 만들게 되어요.
- 코바늘로 실 끼우기
이제 코바늘을 이용해서 원을 만든 실에 넣을 준비를 해요. 코바늘을 고리 안에 넣고, 실을 당겨서 실을 끌어옵니다. - 첫 번째 기둥코 만들기
매직링 안에서 첫 번째 기둥코를 만듭니다. 일반적으로는 '사슬 1코'가 기본인데, 이것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기초가 됩니다. - 코바늘로 뜨기
이제 매직링 안에 원하는 만큼 뜨개질을 해 주세요. 주로 ‘짧은뜨기’를 많이 사용합니다. 사슬 1코로 시작한 후, 매직링 안에 짧은뜨기나 다른 기법을 반복하여 넣습니다. - 매직링 조이기
작업이 끝나면 매직링의 실 끝을 당겨주세요. 그러면 구멍이 조여져서 깔끔하게 마무리됩니다.
예시 도안 (짧은뜨기 6개로 시작하기)
- 매직링을 만들고, 그 안에 짧은뜨기 6개를 넣습니다.
- 매직링 끝 실을 당겨서 구멍을 조여주세요.
- 다음 코로 넘어가세요.
매직링으로 시작하는 원형 꽃 도안
기본 도안 (짧은뜨기 6개로 시작하기)
- 매직링 만들기:
실을 손에 감고 매직링을 만듭니다.
매직링 안에 짧은뜨기 6개를 넣습니다. - 2단 (2코씩 증가):
첫 번째 단을 마친 후, 두 번째 단에서는 각 짧은뜨기마다 2코씩 증가시켜서 총 12코가 되도록 합니다. - 3단 (1코씩 증가):
세 번째 단에서는 첫 번째 코는 그대로 짧은뜨기를 하고, 두 번째 코에서는 2코씩 증가시킵니다. 이렇게 반복해서 총 18코가 되도록 합니다. - 4단 (원하는 크기까지 반복):
이후에는 원하시는 크기까지 같은 방식으로 짧은뜨기와 증가를 반복해 주세요.
도안 예시
1단: 매직링 (6코)
2단: (1코, 1코 증가) × 6 (총 12코)
3단: (2코, 1코 증가) × 6 (총 18코)
4단: (3코, 1코 증가) × 6 (총 24코) ← 여기서 꽃잎처럼 모양이 나기 시작해요.
늘여뜨기 (증가) 설명
늘여뜨기는 짧은뜨기 1코를 같은 자리에 두 번 떠서 진행됩니다. 예를 들어, 어떤 자리에 짧은뜨기 1코를 넣었다면, 그 자리에 다시 짧은뜨기 1코를 추가로 넣는 방법이에요.
기호
늘여뜨기의 기호는 보통 'V' 모양이나 두 개의 짧은뜨기 기호를 겹쳐서 표현합니다. 예를 들어:
- V 기호: ᐯ (두 개의 짧은뜨기가 하나로 결합된 모양)
도안 예시 (짧은뜨기 1코, 늘여뜨기)
다음은 기본적인 원형을 만들 때, 늘여뜨기를 사용하는 도안 예시입니다.
1단: 매직링 시작
- 매직링 안에 짧은뜨기 6개를 넣습니다.
- 1단: 매직링 (6코)
2단: 늘여뜨기 1코씩 증가
- 2단에서는 각 짧은뜨기마다 늘여뜨기를 해줍니다. 즉, 각 자리마다 짧은뜨기 2개를 넣습니다.(기호로는 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)
- 2단: (늘여뜨기) × 6 (총 12코)
3단: 늘여뜨기와 짧은뜨기 교차
- 3단에서는 첫 번째 코에 늘여뜨기, 두 번째 코는 짧은뜨기 1개로 진행합니다. (1코-증가-1코-증가 형태)
- 3단: (1코, 늘여뜨기) × 6 (총 18코)
4단: 반복
- 이후에는 필요에 따라 짧은뜨기와 늘여뜨기를 반복하면서 원을 넓혀갑니다.
기호 예시
(◯, ᐯ) × 6 → (1코, 늘여뜨기)
여기서 ◯는 짧은뜨기 1코, ᐯ는 늘여뜨기를 나타내요.
모아뜨기 (빼뜨기) 설명
모아뜨기는 두 코를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기법입니다. 두 코를 같은 자리에 넣고 빼뜨기를 해줍니다. 이를 통해 원형을 마무리하거나, 다음 단으로 부드럽게 이어갈 수 있어요.
기호
모아뜨기의 기호는 보통 'X' 모양이나 빼뜨기 기호로 표현되며, 실제로는 두 코를 하나로 결합하는 모양을 나타냅니다.
- X 기호: 'X'는 두 코를 모아서 하나로 뜬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해요.
도안 예시 (모아뜨기, 빼뜨기)
다음은 모아뜨기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도안 예시입니다.
1단: 매직링 시작
- 매직링 안에 짧은뜨기 6개를 넣습니다.
- 1단: 매직링 (6코)
2단: 늘여뜨기 (1코씩 증가)
- 2단에서는 각 짧은뜨기마다 늘여뜨기를 해줍니다. 즉, 각 자리마다 짧은뜨기 2개를 넣습니다.
- 2단: (늘여뜨기) × 6 (총 12코)
3단: 모아뜨기 활용 (원형을 마무리)
- 원형을 마무리할 때, 또는 두 단을 이어줄 때 모아뜨기를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, 모아뜨기 1개를 통해 두 코를 하나로 결합해줍니다.모아뜨기는 일반적으로 끝자리를 조일 때 사용되므로 원의 끝에서 한 바퀴를 빼뜨기로 마무리해줍니다.
- 3단: (모아뜨기) × 6 (총 6코)
기호 적용 예시
- 모아뜨기는 주로 마지막 단을 마무리할 때, 혹은 코를 이어주는 데 사용됩니다.
- 기호로는 두 개의 빼뜨기 기호나 X 기호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- (◯, ᐯ) × 6 → (모아뜨기)
여기서 ◯는 짧은뜨기 1코, ᐯ는 늘여뜨기, X는 모아뜨기 기호입니다.
미니공 도안 (완성 크기: 6cm)
1단: 매직링 + 짧은뜨기 6개
- 매직링을 만들고, 그 안에 짧은뜨기 6개를 넣습니다.
- 매직링을 당겨서 구멍을 조여줍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1단: 매직링 → 사슬 1코 → 짧은뜨기 6개 → 빼뜨기
(총 6코)
2단: 사슬뜨기 + 늘여뜨기 6코 + 빼뜨기 (12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하고, 그 후 늘여뜨기(각 코에 짧은뜨기 2개씩)를 6번 반복하여 총 12코로 만듭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2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2개씩 넣기) × 6 → 빼뜨기
(총 12코)
3단: 사슬뜨기 +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) × 6 + 빼뜨기 (18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한 후, 짧은뜨기 1개와 늘여뜨기 1개를 번갈아가며 6번 반복합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3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 1개) × 6 → 빼뜨기
(총 18코)
4단: 사슬뜨기 +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 1개) × 6 + 빼뜨기 (24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한 후, 짧은뜨기 1개와 늘여뜨기 1개를 번갈아가며 6번 반복합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4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 1개) × 6 → 빼뜨기
(총 24코)
5-8단: 사슬뜨기 + 짧은뜨기 24개 + 빼뜨기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하고, 그 후 짧은뜨기 24개를 떠주세요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-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미니공을 적당한 높이로 만듭니다.
5-8단: 사슬 1코 → 짧은뜨기 24개 → 빼뜨기
(총 24코 × 4회)
9단: 사슬뜨기 + (짧은뜨기 2개, 모아뜨기) × 6 + 빼뜨기 (18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하고, 짧은뜨기 2개와 모아뜨기 1개를 번갈아가며 6번 반복합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9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2개, 모아뜨기) × 6 → 빼뜨기
(총 18코)
10단: 사슬뜨기 + (짧은뜨기 1개, 모아뜨기) × 6 + 빼뜨기 (12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하고, 짧은뜨기 1개와 모아뜨기 1개를 번갈아가며 6번 반복합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합니다.
10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모아뜨기) × 6 → 빼뜨기
(총 12코)
11단: 사슬뜨기 + 모아뜨기 6개 + 빼뜨기 (6코)
- 사슬뜨기 1코로 시작하고, 모아뜨기 1개를 6번 반복하여 총 6코로 만듭니다.
- 마지막 코에서 빼뜨기로 마무리하고, 실을 끊어서 마무리합니다.
11단: 사슬 1코 → 모아뜨기 6개 → 빼뜨기
(총 6코)
완성된 미니공
이 과정을 통해 미니공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. 최종적으로 높이는 6cm 정도로 완성됩니다.
정리된 도안
- 1단: 매직링 → 사슬 1코 → 짧은뜨기 6개 → 빼뜨기 (6코)
- 2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2개씩 넣기) × 6 → 빼뜨기 (12코)
- 3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 1개) × 6 → 빼뜨기 (18코)
- 4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늘여뜨기 1개) × 6 → 빼뜨기 (24코)
- 5-8단: 사슬 1코 → 짧은뜨기 24개 → 빼뜨기 (24코) × 4회
- 9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2개, 모아뜨기) × 6 → 빼뜨기 (18코)
- 10단: 사슬 1코 → (짧은뜨기 1개, 모아뜨기) × 6 → 빼뜨기 (12코)
- 11단: 사슬 1코 → 모아뜨기 6개 → 빼뜨기 (6코)
미니공 만들기는 초보자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, 한 번 익히고 나면 코바늘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기법이에요. 특히 매직링을 잘 만들 수 있으면 다양한 입체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리죠! 예쁜 키링이나 가방 참, 장난감 같은 소품은 실용적이면서도 완성할 때의 뿌듯함이 크니까요.
'앵무와 뜨개놀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🍷 와인 캐리어 만들기 - 왕코바늘 프로젝트! 🧶 (0) | 2025.02.27 |
---|---|
그래니스퀘어 모티브법으로 미니화분커버 만들기 (0) | 2025.02.26 |
한길긴뜨기 뜨는 방법 (0) | 2025.02.25 |
🌿 사각 티코스터 뜨기 – 짧은뜨기로 만드는 작은 행복 🌿 (0) | 2025.02.24 |
실과 바늘로 엮어가는 나의 순간들 (2) | 2025.02.23 |